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돈관리
- 정부지원금
- 경제적자유
- 경제공부
- 경제학공부
- 부자되는법
- 명언모음
- 자기계발
- 환급금조회
- 부자되는습관
- 주식초보
- 투자공부
- 부자습관
- 주식공부
- 재테크기초
- 부자학개론
- 초보투자
- 투자기초
- 주식기초
- 부자마인드
- 주식투자
- 재테크공부
- 경제습관
- 돈공부
- 돈버는법
- 투자전략
- 금융공부
- 미환급금조회
- 재테크
- 근로장려금
- Today
- Total
부자학개론
월급쟁이의 가장 큰 착각 5가지 – 돈을 못 모으는 이유 본문
돈을 모으지 못하는 사람들의 공통된 착각
“나는 분명 열심히 일하고 있는데, 왜 돈은 안 모이지?”
많은 직장인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
매달 정해진 월급이 들어오고, 크게 낭비하는 것도 없는데 통장은 늘 제자리거나, 때론 마이너스가 되곤 하죠.
하지만 그 원인은 의외로 '수입의 크기'가 아닌 '생각의 틀'에 있을지도 모릅니다.
우리가 흔히 빠지는 몇 가지 착각은 돈을 모으지 못하게 만들고, 평생 월급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게 하기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월급쟁이들이 가장 흔히 하는 5가지 착각을 짚어보며, 왜 돈이 모이지 않는지, 그리고 어떤 인식 전환이 필요한지를 함께 생각해보려 합니다.
'벌기 전에, 생각을 먼저 바꿔야' 진짜 부의 시작이 가능합니다.
목차
- 1. "고정지출은 어쩔 수 없다"는 착각
- 2. 연봉 인상이 저축에 도움이 안 되는 진짜 이유
- 3. "지금 못 모으면, 평생 못 모을 수도 있습니다."
- 4. "돈이 없어서 투자를 못 한다고요?"
- 5. '남들보다 덜 쓴다'는 착각이 당신을 가난하게 만든다.
1. “고정지출은 어쩔 수 없다”는 착각
"어쩔 수 없이 나가는 돈이니까…"
우리는 흔히 월세, 통신비, 보험료, 구독료, 교통비 등을 ‘건드릴 수 없는 지출’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바로 이 '건드릴 수 없다'는 인식이, 자산 형성을 막는 벽이 될 수 있어요.
실제로 많은 사람들은 필요 이상으로 비싼 요금제를 유지하거나 한 번도 쓰지 않은 구독 서비스에 매달 자동결제를 내고 비효율적인 보험을 해지하지 못한 채 방치하고 있죠.
고정지출은 매달 반복되기 때문에, 한 번 손보면 적은 금액이라도 누적 효과가 매우 큽니다.
예를 들어, 통신비를 2만 원 줄이고, 불필요한 OTT 구독 1개만 해지해도 매달 3~5만 원, 1년에 수십만 원이 절약됩니다.
더 중요한 건 이 지출을 줄인다는 ‘사실’보다, “나는 지출을 통제할 수 있다”는 인식 전환이에요.
그 순간부터 돈의 주인이 되기 시작하는 겁니다.
2. “연봉이 오르면 저축도 늘겠지”라는 착각
“연봉이 조금만 더 오르면, 저축도 훨씬 수월해지겠지.”
많은 직장인들이 이렇게 믿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연봉이 오를수록 저축률은 정비례하지 않고, 오히려 소비가 늘어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소득이 늘어나면, ‘당연히 이 정도는 써도 되지’라는 심리적 보상이 따라오기 때문입니다.
더 좋은 옷, 더 편한 집, 더 자주 가는 외식과 커피 등 연봉 상승은 소비 레벨의 상승을 정당화하는 ‘면허’처럼 작용합니다.
이걸 '라이프스타일 인플레이션'이라고 부르죠.
연봉이 오르면 저축이 늘어나는 게 아니라, ‘저축 시스템’이 있어야만 저축이 늘어납니다.
가장 이상적인 방법은 수입이 늘기 전에 저축률부터 고정해두는 것.
즉, 수입이 늘면 지출이 아니라 저축액이 먼저 늘어나야 진짜 자산이 쌓입니다.
3. “지금은 쓰는 시기, 나중에 모으면 돼"
"지금은 쓰는 시기니까, 나중에 여유가 생기면 그때 모으면 되지."
20대엔 사회초년생이라 모을 여유가 없고, 30대엔 결혼·육아·주거비로 바쁘고, 40대엔 교육비와 생활비로 버겁습니다.
모두가 각자의 이유로 '지금은 모을 시기가 아니'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냉정합니다.
돈을 모아야 할 '완벽한 시기'는 절대 오지 않습니다.
삶의 단계가 바뀔수록 오히려 지출은 더 복잡하고 커지며, ‘지금’보다 더 쉽게 모을 수 있는 시점은 좀처럼 오지 않죠.
결국 중요한 건 타이밍이 아니라 ‘시작’ 자체입니다.
작은 금액이라도 지금부터 모으는 사람만이 복리의 시간을 누릴 수 있습니다.
‘모아야 할 때’는 항상 미래가 아니라 지금 이 순간입니다.
4. “투자는 돈 많은 사람들이나 하는 것”이라는 착각
“나는 아직 여유가 없어서, 나중에 돈이 생기면 투자할 거야.”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말합니다.
하지만 부자가 돼서 투자를 시작하는 사람보다, 투자를 일찍 시작해서 부자가 된 사람이 훨씬 많습니다.
투자는 돈이 많아서 시작하는 게 아니라, 돈이 많아지기 위해 해야 하는 행동입니다.
실제로 복리의 마법은 시간이 오래 걸릴수록 강력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적은 돈으로도 일찍 시작하는 것이 훨씬 유리합니다.
매달 10만 원을 투자하는 사람과, 5년 후 월 30만 원을 투자하는 사람은 장기적으로 봤을 때 결과가 크게 다를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요즘은 소액으로도 투자할 수 있는 시대입니다.
1,000원 단위로 주식을 살 수 있고 적립식 펀드, ETF, CMA 등 다양한 저위험 상품도 존재합니다.
정보가 없어서 시작을 못 하는 것이지, 돈이 없어서 못 하는 건 아닙니다.
결국, 가장 위험한 건 투자를 안 하고 있는 현재의 상태일지도 모릅니다.
5. "내가 모으는 건 적지만, 남들보다 덜 쓰니까 괜찮아"
“나는 명품도 안 사고, 외식도 줄였고, 소비가 크지 않으니까… 돈이 많지는 않아도 괜찮겠지.”
이런 생각은 얼핏 보면 검소하고 현명한 태도처럼 보이지만, 사실상 행동하지 않는 자기 위안일 수 있습니다.
절약은 분명 중요한 습관이지만, 절약만으로는 자산을 쌓는 데 명확한 한계가 있습니다.
왜냐하면 절약은 '줄일 수 있는 만큼만' 가능한 반면, 수익은 늘릴 수 있는 한계가 더 넓기 때문입니다.
또한 ‘나는 남들보다 덜 써’라는 비교는 자기 상황을 외부 기준에 맞춰 안심하는 착각을 만들어냅니다.
진짜 중요한 건 얼마나 아끼느냐가 아니라 내가 얼마를 남기고, 어디에 어떻게 흘러가게 하고 있는가입니다.
지출보다 수익구조와 자산 흐름을 정기적으로 점검해야 절약 이상의 재테크 전략이 작동하기 시작합니다.
우리는 흔히 “열심히만 살면 언젠가 돈이 모이겠지”라고 믿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그보다 훨씬 냉정합니다.
돈이 모이지 않는 건 의지가 약해서가 아니라, 잘못된 생각을 오래 붙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나는 낭비 안 해”
“나중에 모으면 돼”
“연봉 오르면 되겠지”
이런 착각은 마치 정체된 엘리베이터 안에 탄 것과 같습니다.
문을 열고 한 발 나가는 순간, 비로소 자산의 흐름이 바뀌기 시작합니다.
이제는 ‘착각’을 버리고, 돈이 모이는 사람들의 생각법으로 전환할 때입니다.
지금부터라도 방향을 바꾸면 늦지 않았습니다.
'📖 [선택 교양] 교양있는 부자 수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자의 필수 3가지: 돈, 네트워크, 정보력 (0) | 2025.05.10 |
---|---|
“부자 되려면 잠부터 바꿔라” – 수면 시간과 생산성의 상관관계 (0) | 2025.05.08 |
워렌 버핏이 감명받았다는 책 3권 – 독서가 만든 부자 (0) | 2025.05.06 |
블로그로 수익 내기 전, 반드시 알아야 할 세금 상식 (1) | 2025.05.01 |
20대에 가장 후회한 소비 베스트 5 (0) | 2025.04.30 |